-
-
어떤 문헌의 작성 과정을 상세히 재현하기 위하여 연구하는 학문.
-
표제, 표어, 소인, 종이에 비치는 무늬 등을 관찰하여 발행에 관한 자료를 알아내는 서지의 일종. 비평적 서지 또는 역사적 서지라고도 한다.
-
자료의 수록 범위를 기계적으로 제한하여 작성된 서지. 예를 들면 정기간행물에 국한한 서지, 일정기간 동안 발행된 도서나 논문에 관한 서지, 특정 국가에서 발생된 서지, 특정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서지 등이 있다.
-
서지에 관한 연구와 출판물을 발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1904년에 미국에서 창설된 학회. Papers를 발행하고 있다.
-
인문과학 및 사회과학 분야의 정기간행물에 대한 서지제어를 목적으로 1954년에 설립된 기구. 세계적인 대학 및 연구소의 전문가가 작성한 입력물을 사용하고 있으며 CLIO 발행처에서는 ABC-SPINdex(Subject Profile Index)를 출판 또는 데이터베이스로 제작하고 있다. 주요 발간물은 Historical Abstracts(HA), American History and Life(AHL), Advance Bibliography of Contents, Political Science and Government(ABC PO…
-
독서교육의 방법론과 그 실천적 접근을 중심으로 인간형성을 위한 독서 태도, 지식, 기술능력, 흥미, 습관 등의 형성과 개발의 지도. 더 넓게는 독서에 의한 인격형성이라는 의미로서 독서교육과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된다. 독서교육도 보시오.
-
자료에 대하여 매우 자세하게 기술한 서지. 저자의 완전한 이름, 작품의 정확한 제목, 발행년과 장소, 발행처 및 인쇄자의 이름, 체재, 페이지, 삽화, 가격, 장정 등을 모두 기술한 것이다.
-
목록기술의 국제적 표준화를 도모하며, 기계가독형태로 서지정보의 국제교환을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된 목록기준. 국제도서관협회연맹(IFLA)이 추진하고 있는 국제서지제어(universal bibliographic control) 계획의 핵심이 되고 있다. 국제도서관협회연맹(IFLA)이 주최한 국제목록전문가회의(IMCE)에서 검토가 시작되어 1974년에 단행본용 국제표준서지기술 표준 제1판이 간행되었고, 1978년에 개정판이 간행되었다. 한국목록규칙(KCR) 제4판도 ISBD에서 규정하고 있는 기술요소와 순서, 구두법을 수용하고 있…
-
서지정보를 구체적인 수준에서 조정하여, 국제적으로 교환하기 위한 시스템화 방법이나 계획. 1973년 국제도서관협회연맹(IFLA)이 이 사업을 유네스코가 추진할 것을 제안하여, 1974년 UBC 국제사무국이 설치되었으며, 영국박물관 내에 있던 IFLA 목록사무국이 여기에 흡수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세계 각국에서 발행되는 모든 출판물에 관한 서지데이터를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기계가독목록형식(MARC) 형태로 정비하여, 신속히 교환하고 이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