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이나 서지에 수록되는 자료의 저록을 배열하기 위한 분류. 자료 그 자체의 배가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서가분류가 아닌, 분류저록을 배열하기 위한 분류법이다. 서가분류에서와 같이 1책 1장소 원칙을 따를 필요가 없으며, 이용자의 검색편의를 고려하여 복수의 주제로 저록을 생성할 수 있다.
-
개개의 도서에 대해서 그 형태와 내용, 서지사항 등 특정적인 제 사항은 적절히 표현하고, 이용자가 이에 따라서 그 도서에 대한 대강의 내용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목록 기법.
-
저작물에 대한 서지정보를 하나의 개체(entities)로 보고 이에 대하여 제1집단(저작·표현형, 구현형, 개별자료), 제2집단(개인, 단체), 제3집단(개념, 대상, 사건, 장소)의 속성을 기반으로 하여 서술하도록 한 서지정보 기술 권고안. 특히 서지적 체계를 기술하는데 개체-관계모형을 도입함으로써 복수의 개체와 개체간의 상호관계를 나타낼 수 있어 관련 저록간의 연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
도서목록과 같이 서지작성자들이 작업 시에 많이 사용하는 참고자료
-
서지정보로 구성된 레코드들을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
표준리스트나 대표적 소장목록, 서지를 기준으로 한 도서관의 소장목록을 점검하는 자료중심적 장서평가방법의 하나. 이용자의 요구에 적합한 표준리스트의 선정이 중요하다.
-
어떤 문헌이나 그 일부로서 서지기술의 대상이 되는 개체.
-
특정 주제분야나 학문영역의 연구과정을 통하여 이용자가 체계적이며 단계별로 자료를 찾을 수 있도록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주제서지 도구.
-
저작물이나 음악 악곡 등에 대한 기술. 저자, 편자, 역자, 삽화가 등 저작물 소개에 공헌한 자, 표제, 판사항, 발행일, 발행지와 발행사 등에 대한 상세 항목이 기술된다. 일반적으로 목록기술을 작성하는데 필요한 여러 가지 사항이 기술된다.
-
인용문헌을 이용하여 문헌들 사이의 주제적 관계를 설정해 주는 기법. 즉 여러 개의 문헌이 공통되는 문헌을 하나 이상 인용하고 있을 때 이들 문헌들은 서로 주제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며, 서지적으로 결합되어 있다고 말한다. 서지적으로 결합된 문헌의 결합정도는 공통으로 인용된 문헌수로 측정되며, 결합도가 높을수록 두 문헌의 주제가 더욱 유사한 것으로 추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