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판물에 대한 서지 사항의 기록, 서지기술의 표준화 업무 등 서지 작업 전반을 이르는 말.
-
차세대 Z39.50 개발을 위하여 수행되는 여러 가지 실험적인 연구 및 프로젝트를 통칭하는 포괄적인 용어.
-
서로 다른 기종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도서관 시스템 간의 서지정보 교환을 위한 정보검색 프로토콜. 이용자가 인터넷에서 온라인열람목록(OPAC)을 검색하거나, 다수의 온라인열람목록을 통합한 온라인열람목록을 구축할 때 사용된다. 미국국가정보표준기구(NISO)가 개발하여 미국표준협회(ANSI)가 채택한 미국표준이자 국제표준이며 현재 미국국회도서관이 관리하고 있다.
-
기술의 대상인 자료가 지닌 물리적 사항. 여기에는 표제와 저자, 판사항, 발행지, 발행처, 발행년, 기타 형태사항(크기나 삽화, 딸림자료 등), 총서, 표준번호, 가격 등이 포함된다.
-
책이나 서지학 분야에 상당한 지식을 갖고 있는 전문가.
-
서지전문가가 작성한 한 주제분야의 핵심문헌들을 평가한 글.
-
연속간행물에 수록된 논문이나 기술보고서, 특허, 학회 발표자료, 특정 주제의 논문 등에 관한 목록이나 서지를 작성할 때 독립된 저록의 대상이 되는 자료. 경우에 따라 하나의 서지자료가 물리적으로 복수로 구성될 수 있는데, 다권본으로 이루어진 참고도서나 복수의 카세트로 이루어진 녹음자료 등이 있을 수 있다.
-
도서관 사서가 이용자에게 도서관의 각종 정보이용을 도와주는 과정. 정규적인 교육과정과 현장실습 등 다양한 방안이 사용되고 있다. 목적은 도서관 시스템에 대한 이해와 참고자료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
서지에 관한 광범위한 목록.
-
1900년대부터 협력목록 작성의 개념이 도서관 영역에 도입되면서 회원 도서관이나 제휴 도서관에 직접적으로 서지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조직체를 이르는 말. 최근 국제서지제어를 위한 협력으로 자료의 표준 목록작성과 분류 등의 협력업무가 계속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