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검색 결과

본문 바로가기
상세검색

목록 전체검색 결과


회원문의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일반도서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 이 책은 논리적 모델의 설계에서부터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실무 적용방법론까지 톱니바퀴처럼 맞물려 있는 목록의 전체적인 맥락(context)을 설명하고, 그에 근거하여 구체적인 방법을 기술규칙과 인코딩 형식, 전거 등으로 세분하여 다루고자 하였다. 또한, 국내에서의 실제적 적용을 위해 한국목록규칙(KCR)과 한국문헌자동화목록형식(KORMARC)을 중점적으로 다루되, 국제적인 사용과 국내에서도 머지않은 시기에 다가올 변화에 대비하여 개체-관계모델을 적용한 새로운 방식의 목록법을 RDA와 BIBFRAME으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이 책은 …

  • 책소개 우리나라 최초의 목록이 증빙된 고려시대 이후 동양의 전통적 양식에 의해 편찬되었던 목록에서부터 일제 강점기의 일본 목록규칙 도입, 국제적 표준화 추세를 수용한 목록규칙의 제정, 컴퓨터를 도입한 자동화목록법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목록규칙 변천과정을 단식목록 시기, 목록규칙 도입시기, 국제 표준화 시기, 자동화목록 시기로 구분함으로써 그 체계를 정립하였으며 더불어 각 시기별로 사용되거나 편찬된 목록규칙의 편찬경위, 구성과 내용의 특성들을 분석함으로써 이들의 영향관계를 고찰하고 각 시기별 목록규칙의 특성을 규명하였다.지은이소개도태현…

표준도서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 한국목록규칙 제4판 보유편 전자책 · 전자저널 기술규칙 | 한국도서관협회 목록위원회 편 | 한국도서관협회 | 크라운판/양장본 | 190쪽 | 2013. 4 | 정가 50,000 | 회원 45,000 | ISBN 978-89-7678-167-3 93020정보환경의 급속한 변화에 따른 다양한 웹자원의 등장으로 2003년에 발간된 한국목록규칙 제4판(KCR4)에서 다룰 수 없는 자료 유형이 등장함에 따라 전자책・전자저널 기술규칙 부분을 보유편으로 추가하였다. 이번 보유편은 KCR4의 제13장과 제14장 형태로 작성되어 기본적인 형태는 K…

  • 한국문헌자동화목록형식(KOrean MAchine Readable Cataloging format) 통합서지용이 새롭게 국가표준으로 확정하고 KS제정을 완료하여 이번에 우리 협회에서 책자로 발행하게 되었습니다.그동안 도서관업무의 자동화와 서지정보의 표준화를 이끌어 온 국립중앙도서관이 1980년 처음으로 KORMARC 단행본 실험용 포맷을 개발한 이후 이를 계속 수정, 보완하여 2005년 12월 드디어 국가표준(KS X 6006-0)으로 결실을 맺게 되었습니다.KORMARC 통합서지용은 기존의 KORMARC 기술규칙을 과감히 탈출하고 …

  • - 초록책소개 『한국목록규칙 제4판』에서는 기본적으로 『한국목록규칙 3.1판』의 기술체계를 수용하되, 자료의 서지적 특성을 제시하는 기술사항을 추가하였으며 한국문헌자동화목록(KORMARC) 기술규칙을 수용한 국내 유일의 목록규칙이다. 목록의 기능을 처음으로 제시한 규칙으로 종래 단행본 중심의 목록규칙에서 벗어나 다양한 매체로 발표되는 여러 유형의 자료를 수용하였다. 화상자료와 영상자료를 통합한 규칙을 제정하였고 표목 대신 접근점이란 용어를 사용하였다. 저록에 포함되는 책임표시(저자 등)의 수에 원칙적으로 제한을 가하지 않았고 기본표…

큰글자책 보급 지원 사업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