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자금이 마련되었을 때, 가격이 떨어졌을 때, 또는 간행물이 시중에 나왔을 때 구입하기 위하여 도서관 등의 기관이 미리 선정하여 놓은 도서목록. 보통 주문카드로서 편성된다(desiderata). 2.서적상이 작성한 구입 희망 도서목록. 3.도서의 저자가 정보를 요구하는 주제에 대한 목록.
-
합집에 포함된 개개의 저작의 표제로 검색할 수 있도록 개개의 저작의 표제를 표목으로 한 리스트를 작성하여 자모순으로 배열한 목록. 검색의 편의를 위해 표제간의 참조를 포함한다. 신문이나 학술잡지목록도 표제목록의 형태를 취하는 경우가 흔히 있으며, 총서목록이 별도로 편성되기도 한다. 각종 목록체계(저자목록, 표제목록, 주제명목록)에서 가장 이용률이 높은 목록이다.
-
새로운 서지레코드가 더 이상 추가되지 않고 중단되었거나, 특정 범주에 대하여 개정이나 정정 등 후속적 보완이 제한된 도서관의 목록. 보통 소급변환 작업이 끝난 후 폐쇄목록은 외부에서 접근되지 않도록 이동시킨 후 나중에는 폐기한다.
-
특정한 기일이 경과하여 별로 가치가 없는 자료, 즉 폐기시킬 문헌의 목록.
-
미국국회도서관이 주관하는 국제적인 협력프로그램. 이 프로그램은 유용하면서도 시의적절하고, 비용효과적인 협동목록을 제공하여 도서관 장서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목적으로 구성되었으며 여러 나라가 참여하고 있다.
-
도서 판매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발행처가 발행하는 도서목록. 주문양식과 판매조건이 포함되어 있다.
-
목록자가 최소수준목록보다는 많지만 완전수준목록보다는 적은 데이터요소로 서지레코드를 만들어 사용하도록 한 목록작성 방식. 협동목록프로그램(Program for Cooperative Cataloging)에서 개발한 입력수준이다.
-
2개관 이상의 도서관 소장목록.
-
현재 있는대로의 서지사항으로 목록하며 때에 따라 적절히 변경하는 목록.
-
연쇄색인에서 잘못 연결되었거나 불필요한 연결을 제외한 나머지 색인어에 한정어를 추가하여 만든 목록. 분류기호를 주제명 표목으로 대치하는 두 번째 단계의 목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