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서관의 열람 또는 정보조사제공업무를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기간. 주로 날짜를 단위로 표시한다.
-
하루를 기준으로 한 도서관이나 그 분관 서비스의 일시적인 중단. 공휴일 및 국경일에 실시하기도 하고, 도서관의 개축 및 증축 등의 사정에 의해 실시하기도 하며 예산확보의 실패에 의해 시행되기도 한다.
-
자원의 본표제에 종속되거나 관련되어 나타나는 부표제 및 별표제와 같은 정보.
-
1.특정 주제나 학문 분야에 관련된 회원의 이용을 목적으로 학회가 조직한 특수자료 도서관. 2.회원들로부터 연회비를 거출하여 운영하는 도서관. 18~19세기에 걸쳐 영국과 미국의 각지에 설립되었던 근대 공동도서관의 한 형태이다. 1731년 프랭클린(B. Franklin)이 중심이 되어 설립한 필라델피아조합도서관(Library Company of Philadelphia)이 최초이며, 영국에서는 1758년에 설립된 리버풀도서관이 최초의 회원제 도서관이다.
-
1.집합 X의 부분집합 A, B에 대하여 A의 임의의 요소가 B에 속할 때 A⊆B로 나타내며, 이 관계 ⊆를 이르는 말. 2. 논리대수에서 논리치간의 2항 관계의 일종. a, b를 논리치라 할 때, a∨b = b⇔a≤b에 의해 정의되는 관계.
-
-
조선시대 사고(史庫)의 서적을 점검하고 거풍시키던 사관(史官). 예문관 검열(檢閱)이 담당하였다.
-
한 도서관이나 그 분관 서비스의 영구적인 중단. 주로 예산확보의 실패 혹은 도서관구역 내 인구구성의 변화가 그 원인이다.
-
1.고려 때 제관전(諸館殿)의 하나. 숭문관(崇文館)을 성종(成宗) 14년(995)에 고친 이름이다. 충렬왕(忠烈王) 원년(1275)에 폐하고 동왕 24년(1298)에 다시 두었다가 얼마 뒤에 또 폐하였다. 2. 조선시대 삼사(三司)의 하나. 내부(內府)의 경적(經籍) 및 문한(文翰)과 경연(經筵)을 맡은 관아(官衙)이다. 성종 즉위년(1470)에 그 전의 집현전의 기구를 따서 베풀었는데 연산군 때에 진독청(進讀廳)이라 고치고, 중종 초년에 복구하고, 고종 31년(1894)에 경연청과 병합하여 이듬해에 경연원(經筵院)이라고 고치고,…
-
상관계 중 하나로, 개별 상(phase)을 구성하는 주제를 특정 이용자 계층과 연관시켜 결합한 경우. 예를 들면, ‘공학자를 위한 수학’에서 ‘공학’과 ‘수학’이 갖는 관계이다. 상관계도 보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