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윤희윤 |
정가 |
33000원 |
회원가 |
29700원 |
발행일 |
2020년 03월 05일 |
쪽수 |
560쪽 |
ISBN |
978-89-7678-379-0 |
<주요서지사항>
장서관리론(완전개정 제4판) | 윤희윤 저 | 한국도서관협회 | 양장본 | 2020. 3. | 정가 33,000 | 회원 29,700 | ISBN 978-89-7678-379-0 93020
지난 40년간 필자는 학문적 베이스인 도서관을 키워드로 삼아 교육과 연구에 몰두해 왔다. 책은 인류의 삶, 정신과 기억, 문명과 문화, 지식 세계가 집적된 천상의 매체다. 그 집성체인 장서는 통시적 지적 질서와 지식문화사를 대변한다. 충실한 장서가 집적된 도서관은 지식문명의 코드이자 지적 역사의 타임캡슐이다. 압축하면 ‘藏書 = 圖書館 = 歷史’다. 만고불변의 진리다. 해서 도서관과 사서직은 자료의 생주이멸인 장서관리를 금과옥조로 삼아야 한다. 이용자가 도서관에서 선대의 정신문화와 교감하고 당대 지식세계를 이해하며, 도서관이 후대의 지식문화 향유를 보장하려면 장서개발에 고뇌와 열정을 집적해야 한다.
장서는 도서관의 본질이자 대표 브랜드다. 장서의 생명력은 지속적 누적성, 지적 연계성과 체계성, 통시적 역사성을 중시하는 지적 질서화에 있다. 그것이 전제될 때 장서는 기록문화와 지식문명의 역사를 대변할 수 있고, 도서관은 이념적 중립성 및 공리주의 기반의 지적 해방구이자 지식민주주의 광장이라는 진언(眞言)이 통용될 수 있다. 이를 배제한 창조공간화, 평생학습 지상주의, 감성적 언어와 일시적 공감 위주의 프로그램 등에 몰입하거나 상이한 시공간이 토해내는 유행어에 기대어 장서를 왜곡・위축시킬수록 조종(弔鐘)의 시간은 당겨질 수밖에 없다. 도서관은 장서를 통해 망각된 세월과 기억을 복원하는 공간이어야 한다.
[주요목차]
1. 신화와 고대 문명사
제1절 현생인류의 등장과 이동
제2절 고대 신화와 전설
제3절 고대 문명의 표상과 행간
2. 문자와 기록매체의 변용사
제1절 문자의 기원과 발전
제2절 고대 문자 및 기록매체의 역사
제3절 고대 문자와 기록매체의 변용
제4절 종이의 천년 여정과 파장
3. 책과 도서관의 기호학
제1절 책의 진화와 기호학
제2절 장서와 도서관의 메타포
4. 장서관리의 요체와 정론
제1절 장서관리의 발전과 기능
제2절 장서패러다임의 대립과 쟁점
제3절 장서관리정책의 목적와 성문화
제4절 장서개발의 중요성과 정론
5. 정보자료의 종류와 특성
제1절 정보자료의 스펙트럼과 종류
제2절 인쇄자료의 유형과 특성
제3절 비인쇄자료의 유형과 특성
6. 자료선택론과 쟁점
제1절 자료선택의 중요성
제2절 자료선택론의 진화
제3절 자료선택론의 변증법적 발전
제4절 자료선정의 원칙과 쟁점
7. 인쇄(아날로그)자료 개발
제1절 자료의 유통과 수집
제2절 자료계약과 주문방식
제3절 자료예산의 중요성과 배정
제4절 장서구성과 장서개발 수준
제5절 장서개발의 전략적 방안
8. 전자(디지털)자료 개발
제1절 자료의 유통과 파장
제2절 전자자료 개발의 스펙트럼
제3절 전자잡지(웹DB) 개발
제4절 오픈 액세스 및 리포지터리 전략
제5절 인터넷 장서개발 전략
제6절 디지털 장서개발의 패러독스
9. 장서보존과 수장공간
제1절 보존의 함의와 전모
제2절 파오손의 요인과 산출방식
제3절 보존방법의 결정과 유형
제4절 장서의 원형보존 전략
제5절 장서의 매체변환 전략
제6절 수장공간 확충 전략
10. 장서평가와 제적 · 폐기
제1절 장서평가의 개념과 과정
제2절 장서평가 방법과 기준
제3절 장서폐기의 중요성과 저해요인
제4절 장서폐기 대상의 결정과 기준
부록
1. 자료 선정기준
2. 자료 제적 · 폐기기준
색인